반응형
안녕하세요 <단아맘 돈공부> 입니다.
오늘엔 16번째 용어
기준금리(基準金利)
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정의]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서,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결정하는 정책금리이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함께 오르고,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내리게 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단아맘 기억법]
금리란 -->돈의 가치.
돈을 빌릴때 금리가 높다는 것은 내야 하는 비용이 높다는 뜻
예를 들어,은행에서 대출을 받는데 대출 금리가 10% 라면, 1000만원을 빌리는데 1년에 100만원의 이자를 내야 한다는뜻.
즉 금리가 높다는건 돈을 빌리기 힘들다는 뜻이겠죠.내야 하는 이자가 그만큼 많으니 부담스럽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기준금리를 아래 설명 들으면 좀 더 재밌게 오래 기억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콜금리(기준금리)
예를 들어 오늘 유독 사람들이 은행와서 돈을 많이 빌려가요. A은행은 은행잔고에 200억 정도만 두면 충분할줄 알았는데
오늘 유독 대출 받는 사람이 많아서 고작 오전11시인데 벌써 잔고에 1억밖에 없어요.
그럼 마음이 급해지겠죠, 그래서 B은행에 전화를 해서 "B은행,우리 은행에 잔고가 부족한데 돈좀 빌려줄수 있을까?"
그래서 B은행에 콜(전화)했죠(콜금리설명위해)
은행과 은행사이에 돈을 빌려주면서 이자를 받는데 그때 적용하는 금리를 콜금리라고 합니다.
즉 기준금리=콜금리 란 은행과 은행사이 돈 빌릴때 적용하는 금리를 말하는구나.
우리 시민들이 받을 수 있는 금리는 바로 이 기준금리에 가산금리를 붙여서 적용한 금리구나.
가산금리는 아래 링크 타고 다시 확인하기.
1/96 경제용어 -가산금리 뜻.스프레드(spread)
안녕하세요 입니다. 경제공부를 하려면 일단 기본 경제용어부터 알아야 기사를 읽어도 눈이 감기지 않을것 같아요. 이 책에서 스노우폭스의 김승과 회장님께서 선정해주신 96개의 경제용어부터
behappy2019.tistory.com
참고로 콜금리는 보통 하루만 빌리고 (최대한달)
다음날 고객한테서 들어온 돈을 바로 B은행에 돌려줘서 이자가 나가는것을 방지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