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40/96경제용어(돈의속성)-부채담보부증권(CDO)

by 엄마표하는 엄마(0-6세) 2023. 2. 12.
반응형

안녕하세요 단아맘 돈공부 입니다. 

오늘은 이름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는 부채담보부증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네이버백과사전 요약]
회사채나 금융회사의 대출채권 등을 한데 묶어 유동화시킨 신용파생상품.

 

 

역시 그냥 위 한문장으로는 잘 이해가 안되죠? (저두요... ㅎㅎ)

 

[단아맘 기억법]

 

먼저
왜 CDO(부채담보부증권)는 
왜 생긴거야?

 

예전엔 은행에서 돈빌려서 집을 구입한 개인들이 매달 주택 dㅐ출을 해당 지역 은행에 갚았죠.

하지만, 이 시스템으로는 은행이 돈을 벌기 어려운거에요!

왜????

왜긴~~~~

돈을 빌려간 개인을 원리금(원금과 이자)을 갚아야 은행에선 돈이 들어오는거니까~~

그래서 은행 새로운 시스템인 CDO를 만든것!

 

아래 사진 보시오~~!


 

 

 


어떻게?
투자은행은(투자사) 은행의 dㅐ출 채권들을 모아서 차량,신용카드,학자금 담보 등을 포함시켜 CDO를 만들어서 이걸 개인에게 판매합니다. 

CDO에 투자한 투자자들은 담보dㅐ출을 받아간 사람들이 은행에 내는 이자와 만기시 갚는 원금을 기반으로 이자와 원금을 받습니다.

CDO 에 투자한 사람들도 일정한 이자를 받고, 만기시 원금을 상환 받습니다. 

 

은행이 얻을 수 있는건?

1.이렇게 은행이 CDO를 만들어 판매하면 dㅐ출 채권이 만기전에 돈을 벌 수 없었던것 달리 돈이 들어온다~~~~~

2.위험을 분산시킨다.(dㅐ출을 받은 개인이 내는 이자를 통한 수익방식으로는, 만약 그 개인이 돈을 못 갚는다면,손실은 은행이 감당해야 하지, 근데 CDO는 그 위험을 투자자들에게 전가하는거지!!! 왜? 이 CDO자체가 담보dㅐ출을 받아간 사람들이 은행에 내는 이자와 만기시 갚는 원금을 기반으로 이자와 원금을 받는 시스템이니!!)

 

이상 단아맘이었습니다. 

오늘도 알찬~~ 하루 보내십시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