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돈의속성경제용어13

14/96금산분리,금산분리법 완화 안녕하세요 입니다. 오늘에는 금산분리[ 金産分離 ]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의]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이 상대 업종을 소유·지배하는 것을 금지하는 원칙이다. [단아맘 기억법] 금:금융 산:산업 분리:금융과 산업을 분리하다 라는뜻. 금융자본이라고 하면 은행업을 대표로 할 수 있고, 산업자본(제조업,무역,서비스업이라든가,즉 돈을 버는 기업을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은행도 기업을 지배할 수 없고, 기업도 은행을 지배할 수 없으며, 은행도 기업을 소유 할 수 없고, 기업도 은행을 소유할 수 없다는뜻. [단아맘 기억법] 더 쉽게 말해서,기업이 은행을 차린다거나, 은행같은 데서는 기업을 지배할 만큼의 기업의 지분을 사들여서 기업을 지배한다든가 이런것을 금지한다는 뜻. 돈을 버는 기업 (산업자본)이 가장 갖고 싶어.. 2023. 1. 16.
13/96금본위제도 안녕하세요 입니다 안녕하세요,단아맘 돈공부 입니다. #미라클모닝 하면서 #경제공부 를 #돈의속성 중 96개의 #경제용어 배우기 부터 시작하는 #경린이 #독서 하고 #실행리스트 정리하는 #자기계발러 #아들맘 입니다. @danamom_money 오늘에는 금본위제도 에 대해 알아볼 시간인데요. 아마 많이는 들어보셨을텐데 정확히 말하라고 하면 잘 모르겠는 용어중 하나 인것 같습니다. 너무 깊게 들어가지는 않고 단아맘이 공부한 내용만 공유해드리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 gold standard음성듣기 , 金本位制度 ] 화폐단위의 가치와 금의 일정량의 가치가 등가관계(等價關係)를 유지하는 본위제도. [단아맘기억법-금본위제도] 핵심:금의 가치=화폐의 가치 근데 만약 화폐를 더 찍어내면, 화폐의 가치가 변하니 .. 2023. 1. 15.
12/96 국채(채권)=빚문서! 안녕하세요. 입니다. 오늘은 국채에 대해 단아맘 방식으로 최대한 쉽게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국채]를 알아보기전에 [채권]이란 무엇인가? [채권이란] 채권은 정부나 공공기관 및 일반 기업들이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차용증서다. [단아맘 기억법] 채권은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발행하는거다.쉽게 말해 “차용증서“”빚문서”이다. 발행주체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데 나라에서 발행한 채권은—> (즉국가의 차용증서/빚문서) 회사에서 발행한 채권은—> (회사의 차용증서/빚문서) 💰 [국채의사전적정의] 중앙정부가 자금조달이나 정책집행을 위해 발행하는 만기가 정해진 채무증서. 이상 단아맘 돈공부 였습니다 지금은 새벽4시52분… 아이가 갑자기 깨서 다다다닥 달려나오는 소리땜에 나가봤더니… 결국 이렇게.. 2023. 1. 14.
9/96경제용어-공급탄력성(쉽고,자세한 정리) 안녕하세요 입니다. 오늘은 공급탄력성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정의] 공급탄력성은 쉽게 말해 가격이 변함에 따라 공급량이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그 공급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수치다. [공식] 공급량의 변화율에서 가격의 변화율을 나눈것이다. 단아맘기억법 (쉽게 말해서 가격이 몇% 변동할때 그에 대한 공급량이 몇% 변화하느냐를 나타내는 비율을 말한다) 즉 만약 가격이 1%증가할때 공급량이 1%보다 더 많이 증가하면 탄력적이라고 하고 1%보다 적게 증가하면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아파트의 공급탄력성은 비탄력적이다. 왜냐면 아파트 하나 짓는데 하루이틀 뚝딱 지을수 있는것도 아니고 오랜시간이 걸려야 하는거기에 비탄력적이다. 반대로 공장에서 만들어 낼 수 있는 옷이나,신발이나, 까까(과자등) 이런것은 잘 팔리면.. 2023. 1. 11.
반응형